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독립운동사

[독립운동사] - 독립군의 항쟁과 독립전쟁, 1920년대 무장항일투쟁

by Timemapcatographer 2023. 3. 8.
반응형

[독립운동사] - 독립군의 항쟁과 독립전쟁, 1920년대 무장항일투쟁

1920년 북간도와 연해주의 주요 도시와 도로망

1920년대 간도와 만주지방에서는 독립군 단체가 형성되며 일제에 대항하여 독립전쟁을 시작하였다. 국외 지방에는 경술국치를 전후로 많은 독립지사들이 망명하여 독립군기지건설을 추진했는데 간도와 만주도 그 지역들 중 하나였다. 이곳은 국내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과 이미 한인들이 많이 건너가 살고 있다는 여건 때문에 비교적 쉽게 독립군 근거지를 구축할 수 있었다. 특히 북간도는 강 하나만 건너면 바로 국내로 진입할 수 있는 근거리였기에 이러한 독립군 근거지로서 떠올랐다. 근거지에 한인들의 사회가 구축되고 1919년 3.1운동의 영향으로 1920년대 들어 독립군 무장 단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대표적인 한인의 근거지로는 용정, 국자가, 봉오동, 하마탕, 나자구 등이 있었다.

좌측부터 대한독립군 홍범도, 국민회군 안무, 군무도독부 최진동

독립군은 일제와 중국의 감시가 닿지 않는 간도와 만주에서 독립군 사관학교를 세워서 독립전쟁 지도자와 장교를 양성하였다. 신민회 계열 인사들과 연해주의 민족 지도자들이 이러한 행렬에 참여하였다. 특히 이동휘 나자구의 대전학교(동림무관학교)가 대표적이다. 십리평에도 무관학교가 지어졌고, 무관학교가 아닌 한인 사립학교들은 수없이 많은 수가 세워졌다. 북간도는 무장투쟁을 통해 국내로 진공해 독립을 이루겠다는 분위기가 팽배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아래 3.1운동이후 독립군 단체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연계를 가지고 활동하였다. 특히 북간도 대한국민회는 임시정부 산하단체임을 표방하고 무장단체 통합에 앞장서서 대한북로독군부를 결성하였다. 이 단체는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안무의 국민회군, 최진동의 군무도독부를 합친 것으로 봉오동 전투의 승리를 가져온 부대였다. 

1920년대 연해주에서 활동한 한창걸 부대

북간도와 연해주에서 형성된 독립군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너 국내로 들어가 일본군을 공격하거나 행정기관을 공격하기도 했다. 이들은 1920년 6월 독립군 부대가 압록강을 넘어 일본군을 기습한 뒤 철수하였다. 독립군은 뒤쫓아온 일본군을 다시 삼둔자에서 격퇴시켰다. 이에 일본군은 추격대를 편성하여 독립군의 근거지였던 왕청현 봉오동으로 침입해 들어왔다. 그러나 대한북로독군부는 일본군의 진격을 사전에 인지하고 매복하고 있다가 일본군을 기습공격하여 커다란 전과를 세웠다. 봉오동에서 패배한 일본군은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북간도로 공격해 들어왔다. 일본의 정규군으로 구성된 월강추격대는 북간도 깊숙히 침공해왔다. 청산리로 근거지를 옮긴 김좌진의 북로군정서와 홍범도의 대한독립군을 비롯한 독립군 연합 부대는 1920년 10월 21일부터 1주일 가량 계속된 10차례의 전투끝에 일본군의 주력을 격파했다.

봉오동과 청산리 일대 지도와 청산리 전투의 주역 북로군정서 부대

 

일본군은 이 무렵에 훈춘사건을 벌여 독립군 근거지를 없앤다는 구실로 출병하여 만주 일대의 조선인을 학살하고 가옥과 학교를 불태우는 간도 참변을 일으켰다. 독립군은 봉오동과 청산리의 승리 이후 일본의 계속되는 공격과 민간인 학살을 피해 밀산을 거쳐 소련땅인 자유시(스보보드니)로 옮겨갔다. 그러나 자유시에서 한인 무장단체의 통솔권을 가지고 다툼이 일었고 소련 적군의 무력을 등에 업은 쪽과의 무력 충돌로 수많은 독립군들이 희생당했다. 그 중 일부만이 만주로 다시 돌아올 수 있었는데, 이 사건을 자유시 참변이라고 부른다. 

1930년대 간도, 만주일대의 무장독립운동

만주로 돌아온  독립군 단체들은 다시 독립군 단체를 조직하였고, 만주 일대의 독립군은 점차 3부의 형태로 통합되었다. 3부는 정의부, 참의부, 신민부 3개의 조직이었는데, 3부는 조직뿐 아니라 행정 조직까지 갖추고 만주와 연해주 일대의 한인 사회를 통치하는 자치정부적 성격을 띄었다. 1920년대 말 3부의 통합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결과 남만주에는 국민부가 형성되었고, 이를 통치하는 정당성격의 조선혁명당과 군사조직인 조선혁명군이 결성되었다. 북만주에서는 혁신의회가 결성되었다. 혁신의회는 곧 한국독립당과 그 군사조직인 한국독립군으로 바뀌었다. 양세봉의 조선혁명군은 영릉가 전투, 흥경성 전투등에서 활약하였고, 지청천의 한국독립군도 중국군과 함께 쌍성보 전투, 대전자령 전투등에서 일본군을 격파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