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랑스사5

[프랑스사] - 메테르니히와 구체제의 부활, 자유주의 프랑스 7월 혁명 [프랑스사] - 메테르니히와 구체제의 부활, 자유주의 프랑스 7월 혁명 메테르니히가 틀어 막으려했던 자유주의, 민족주의는 물과 같아서 개인의 노력으로 막아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리스가 독립을 달성하고 이듬해인 1830년 7월 파리에서는 자유주의 혁명이 발생하였다. 이를 7월 혁명이라고 한다. 프랑스에서 나폴레옹이 실각한 이후, 프랑스 왕실은 다시 파리로 돌아왔다. 부르봉 왕실의 루이 18세는 입헌군주제를 규정한 1814년의 헌법을 선포했다. 이 헌법은 보수적이었으며, 유권자 수가 10만을 넘지 못하는 법이었다. 동시에 혁명이 끝나고 프랑스로 돌아온 귀족과 성직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프랑스에는 구체제, 즉 앙시앵레즘이 부활하게 되었다. 이들은 혁명으로 잃은 특권과 재산을 되찾을하였고, 자신들의 정치.. 2023. 6. 3.
[프랑스사] - 나폴레옹 체제의 유럽과 대륙봉쇄령, 나폴레옹의 몰락의 시작: 러시아 원정 [프랑스사] - 나폴레옹 체제의 유럽과 대륙봉쇄령, 나폴레옹의 몰락 나폴레옹이 황제가 되고 국내외 전쟁을 종결시키면서 맺은 영국과의 아미앙 조약은 영국에게 불리한 조약이었다. 영국은 전비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불리한 조약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영국 내부의 문제가 해결되면서 1803년 영국과 프랑스는 다시 교전상태로 돌입했다. 동시에 1805년에는 다시 대불동맹을 결성하여 프랑스의 육군에 공격당한 유럽국가들을 포섭했다. 오스트리아, 러시아, 스웨덴이 3차 대불동맹에 참여했다. 나폴레옹도 육군으로 공격할 수 없는 영국을 희대의 숙적으로 여겼고, 해군이 강한 에스파냐와 동맹을 맺고 영국의 대불동맹에 대항하였다. 그러나 1805년 10월 프랑스와 에스파냐 연합함대는 트라팔가 해전에서 영국 넬슨제독에게 패배를 당.. 2023. 5. 20.
[프랑스사] - 프랑스 혁명의 종료와 나폴레옹의 등장, 제 1제정과 황제 나폴레옹 1세 [프랑스사] - 프랑스 혁명의 종료와 나폴레옹의 등장, 제 1제정과 황제 나폴레옹 1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프랑스의 군인이자 황제이다. 이탈리아계 프랑스인으로 코르시카 섬 출생이다. 그는 브리엔 군사학교를 통해 군인으로 출발한 나폴레옹은 파리의 육군사관학교까지 졸업했고, 1793년 12월 자코뱅 국민공회 당시 반란을 일으킨 툴롱 항 탈환에 공을 세우고, 1795년 10월 데르미도르파를 위해 왕당파 폭동을 진압하면서 젊은 장교로 인정 받았다. 나폴레옹이 군에 재직할 당시 1793년 프랑스에서 루이 16세를 처형한 사건을 계기로 유럽에서는 대프랑스동맹(대불동맹)이 형성되었다. 유럽 각국의 군주들은 프랑스에서 일어난 혁명의 사상이 자국에 퍼지는 것을 경계했다. 영국을 위시한 프로이센, 네덜란드, 에스파냐 등.. 2023. 5. 18.
[프랑스사] - 혁명정부와 로베스피에르, 테르미도르 반동과 나폴레옹의 등장 [프랑스사] - 혁명정부와 로베스피에르, 테르미도르 반동과 나폴레옹의 등장 프랑스 군은 전선에서 패전에 패전을 거듭했다. 네르빈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 군에 완전히 패배한 프랑스 뒤무리에 장군이 1792년 4월 프랑스 공화국에 반기를 들어 쿠테타를 시도하려다 실패하고 오스트리아 진영으로 도망친 사건이 일어나자, 국민공회의 지롱드파는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여기에 고물가와 식량부족에 허덕이던 파리의 민중이 국민공회를 습격하는 일까지 발생하자, 그해 6월 2일 국민공회는 지롱드파 지도자들을 숙청하였다. 지롱드파의 숙청 이후 주도권을 쥔 산악파는 모든 봉건적 공납을 무상으로 폐지하므로써 농민층의 완고한 지지를 받았다. 여기에 6월 24일 로베스피에르의 주장이 반영된 새로운 93헌법이 채택되었다. 93헌법.. 2023. 5. 16.
[프랑스사] - 프랑스의 절대왕정의 구조와 성립 [프랑스사] - 프랑스의 절대왕정의 구조와 성립 유럽의 절대왕정은 유럽의 사회가 봉건시기를 탈피하여 근대사회 성립의 초기단계이다. 절대왕정국가는 봉건 제후들에게 나뉘어져있던 권력을 왕을 중심으로 모으고 국가를 통일시켜 행정, 사법, 군사적 측면에서 중앙집권화를 이룬 국가를 말한다. 국가 통일과 중앙집권으로 이룬 왕권은 매우 강력했다. 정치는 오늘날의 시각에서 전제정치에 가까웠다. 그러나 절대왕권 역시도 아무런 견제를 받지 않는 권력은 아니었다. 절대왕권 역시 귀족이나 의회, 세습 관료집단에 의해 견제를 받았지만 기본적으로 이들을 굴복시킬 수 있다는 것이 절대왕권의 기준이 된다. 사상적으로는 왕권신수설을 기반으로, 경제적으로는 중상주의를 기본으로 하였다. 절대왕정은 관료제와 상비군의 존재를 통해 강력한 권.. 2023. 1.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