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앙아시아사

[중앙아시아사] - 서몽골 오이라트의 등장과 발전

by Timemapcatographer 2022. 7. 15.
반응형

[중앙아시아사] - 서몽골 오이라트의 등장과 발전

 

명은 중원을 회복한 뒤 막북으로 도망간 북원을 공격했다. 북원이 명나라의 거듭된 원정으로 인해 점차 쇠락의 길을 걷자 서몽골에 위치했던 부족 오이라트는 예수데르를 지원하여 그를 새로운 칸으로 앉힌다. 그러나 제국의 실권과 권력은 오이라트의 부족 수령들이 모두 가진 상태였다. 결국 북원이 붕괴하고 동몽골에서 황금 씨족인 징기즈칸의 일족이 몰락하자 서몽골의 오이라트는 초원을 장악할 기회를 잡았다.

 

본디 서몽골의 오이라트는 징기즈칸 시대에 몽골에 복속하고 부족의 정략결혼을 통해 제국에 협력한 부족이었다. 그러나 동몽골 황금씨족인 징기즈 일족이 몰락하고 명이 건국되어 나타나 북원에 대한 원정을 거듭하자 이들은 결국 명에 협력했다. 오이라트를 이끄는 세명의 수령 마흐무드, 타이핑, 바투 볼라드는 명에게서 관직인 왕작을 받고 자신들의 세력을 강화하였다. 그중 마흐무드의 후계자인 토곤은 다른 수령들을 통합하여 오이라트를 통일한다.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모굴 칸국

그 후 통합 오이라트의 지도자 토곤은 1434년 동몽골의 아룩타이를 공격하여 없애고 동서 몽골 전체를 통합해 초원을 장악한다. 초원을 완전히 장악했지만 징기즈칸의 위상을 완전히 무시할 수 없었던 그는 정치적 위상을 위하여 징기즈칸의 후손 가운데 톡토 부카라는 인물을 내세워 칸에 앉히고 자신은 타이시라는 수상에 가까운 직책에 앉아 오이라트의 전권을 장악했다. 1438년 타이시 토곤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인 에센에 이르러서 오이라트의 세력은 절정에 이르렀다. 오이라트는 남쪽의 모굴 칸국을 압박하여 실크로드의 거점인 하미를 장악했다. 모굴의 군주는 에센 타이시 전투를 61차례나 벌였지만 한 차례 밖에 승리하지 못했다. 오이라트의 공격으로 모굴 칸국은 서쪽 일리 방면으로 후퇴해야만 했다.

 

에센의 오이라트는 동쪽으로 세력을 펼쳐서 내몽골과 만주방면의 우량카이와 여진을 복속시켰다. 이로써 장성 이북을 모두 장악하고 다시금 명과 대립할만한 세력을 만들어냈다. 그들은 명과 조공무역 및 호시를 통해 경제적 이득을 취하려 했다. 그러자 명은 오이라트의 속셈을 눈치채고 조공과 호시에 대한 세밀한 규정을 만들어서 이를 통제하려고 했다. 그러나 이러한 통제는 오이라트의 경제적 욕구에 대한 불만족을 불렀고, 결국 명과의 무력 충돌로 나타났다.

에센은 오이라트의 대군을 이끌고 1449년 남하하여 명의 대동, 적성, 요동, 감숙 등을 공격하였다. 명의 황제 영종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나섰다가 토목보에서 급습을 받아서 포로가 되었다. 황제가 포로가 되자 오히려 이 전과에 놀란 것은 오이라트의 에센이었다. 에센은 황제를 돌려주는 대가로 명과의 교역 협상에서 요구사항을 관철하려 했다. 그러나 명 조정이 영종의 동생을 황제로 추대하고 일체의 협상을 거부하자 에센은 칸은 어쩔 수 없이 1450년 영종을 아무런 대가 없이 돌려보내준다. 이를 ‘토목보의 변’이라고 부른다.

에센 타이시

이 사건에 대한 에센의 처리방식은 오이라트 인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게다가 그는 스스로 칸을 자처하기도 하였고 이는 곧 큰 문제가 되었다. 1453년 그는 명목상 내세우던 칸을 살해하고 스스로 칸임을 천명했다. 그는 스스로 몽골 제국의 전통을 잇는 군주이자 칸을 자청했는데 이는 징기스 칸의 혈통을 신성시하는 몽골인들의 관념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상황이었다. 황금씨족의 전통을 어긴 에센은 결국 1453년 살해되고 만다.

 

에센이 살해됨과 동시에 토곤이 이뤄놓은 오이라트의 패권은 무너져 내리고 징기즈 일족의 주도하에 동몽골이 다시금 패권을 잡기 시작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