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러시아사/소비에트 러시아

[러시아사] - 프라하의 봄과 아프가니스탄 침공, 소비에트의 폭력적 대응 2

by Timemapcatographer 2023. 4. 21.
반응형

[러시아사] - 프라하의 봄과 아프가니스탄 침공, 소비에트의 폭력적 대응 2

 

동유럽의 문제는 끊임없이 불거져나왔다. 헝가리 혁명을 진압한 후 12년간 소비에트는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제도적 다양성과 이데올로기적 다양성을 가진 공산주의 다원주의를 용인하려했다. 그러나 이는 동유럽 여러 국가들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포괄하지는 못했다.

프라하의 봄 당시 신시가 광장

1968년 프라하에서는 “프라하의 봄"이라 불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체코,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경기침체에 시달리고 있었다. 프라하의 봄은 이러한 경제침체를 해결할 것을 요구하는 개혁요구, 민주화 요구 운동이었다. 프라하의 봄에 의해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은 권력독점을 포기한다고 말했고, 경제 수정주의와 민주주의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동시에 정치적으로 숙청된 인사들을 복귀시키고 국가 주요 요직에 개혁파를 임명했다. 이러한 개혁에는 체코의 지도자 둡체크가 중심에 있었다.

체코슬로바키아인들이 국기를 들고 불타는 소련군의 탱크를 지나고 있는 모습.

체코슬로바키아의 급진적인 개혁안에 소비에트 지도자들은 개혁에 한계선을 그르려 시도했고, 협상 테이블에 양국의 지도자가 앉았다. 그러나  “형제”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반응은 소비에트의 반응은 또 다시 폭력으로 귀결되었다. 1968년 8월 20일에 소비에트 군대는 바르샤바 조약기구 동맹국의 군대를 포함하여 50만의 대병력으로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여 점령하였다. 

1968년 8월 21일, 부쿠레슈티에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루마니아 대통령이 바르샤바 조약군의 침공을 비판, 헬싱키에서 소비에트의 체코 침략을 비판하는 시위

이 무렵의 소비에트는 우후죽순 일어나는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형제국들을 통제하고, 반체제 운동을 무력으로 억압하며, 계획경제를 고수하고, 소비에트에게 굴종시키는 것을 결정했다. 결국 체코를 침공하는 일은 “사회주의적 국제주의 행동”으로 정당화 되었다. 이는 암묵적으로 지도자의 이름을 따 브레즈네프 독트린으로 불렸다. 이는 브레즈네프가 1968년 11월에 바르샤바에서 행한 연설처럼 소비에트 러시아가 주도하는 사회주의 공동체 구성원이 자본주의 체제로 복귀하려고 할 때 소비에트는 언제 어디서나 개입해야하는 의무와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표현하고 있다. 소비에트의 개입은 수많은 유럽 사회주의자로부터 외면 받았다.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소비에트 군, 헬기에서 소비에트 표식이 식별된다.

브레즈네프 시기 또 한번의 군대동원이 있었는데 1979년 12월 말에 있었던 아프가니스탄 침공이다.

아프가니스탄은 모하마드 자히르 샤에 의해 통치되고 있었으나 1973년 왕의 사촌인 모하마드 다우드 칸에 의해 쿠테타가 발생하면서 독재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1978년 좌익계 군인들이 다시 쿠테타를 일으켜 다우드 칸을 몰아내고,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의 할크파가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여 공산정권을 수립하게 된다. 이에 지방의 여러 부족과 무자헤딘 반군 게릴라가 일어나 공산 정권에 저항하였다. 소비에트는 공산정부를 지원하기 위해서 KGB 요원을 비롯해 일부 경비병력을 위해 소비에트 병력을 파견하였다.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

소비에트는 1979년 12월 24일부터 1989년 2월 15일까지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과 전쟁을 벌였다. 10년간의 전쟁동안 소비에트는 사실상 세계 곳곳의 나라의 지원을 받는 무자헤딘을 상대해야했다. 무자헤딘은 소비에트를 견제하는 미국의 지원은 물론 사우디아라비아, 리비아, 이란, 인도네시아, 이집트, 파키트탄 등 이슬람 국가들의 지원을 받으며 싸웠다. 심지어 중국마저도 무자헤딘을 지원했다. 결국 1988년 6월 체결된 평화협정을 기반으로 1년에 걸쳐 소비에트의 군대는 얻은 것 없이 천천히 철수했다.

소비에트-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비용부담은 훗날 소비에트가 해체되는데 영향을 주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