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3

[이집트사] - 이집트의 현재와 미래 2011년 2월,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이 퇴진한 후 이집트는 군부가 통치하는 과도정부 시기를 거쳤다. 하지만 민주화 운동의 씨앗은 그보다 훨씬 이전인 2003년부터 싹트고 있었다. 무바라크 정권에 반대하는 "케파야"(이집트 변화 운동)가 시작되었으며, 민주적 개혁과 시민 자유 확대를 목표로 한 이 운동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확대되었다.2011년 1월 25일, 무바라크 정부에 대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으며, 이는 대국민 저항 운동으로 발전했다. 1월 29일까지 무바라크 정부는 사실상 통제력을 상실했고, 결국 2월 11일 무바라크가 대통령직에서 사임하면서 30년간 지속된 그의 독재 정권이 막을 내렸다. 군부는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국가를 관리했으며, 2월 13일 헌법과 의회를 해산한 후 9월 총선을 예고.. 2025. 4. 1.
[이집트사] - 이집트 혁명, 새로운 공화국의 불꽃 이집트 혁명, 새로운 공화국의 불꽃2011년 이집트 혁명(25 1월 혁명)은 30년간 권력을 쥐고 있던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을 이끈 역사적인 사건으로,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불만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습니다. 이 혁명의 주요 원인은 경찰의 폭력, 부패, 높은 실업률, 식료품 가격 상승, 정치적 자유의 부족 등으로, 특히 무바라크의 아들인 가말 무바라크가 후계자로 거론되면서 이로 인한 권력 세습에 대한 반감도 있었습니다. 이 혁명은 2010년 6월, 알렉산드리아에서 발생한 칼레드 사이드의 폭력적인 경찰 살해 사건을 계기로 더욱 확산되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온라인 활동가들, 특히 "우리는 모두 칼레드 사이드"라는 페이스북 페이지가 이슈를 불러일으켰고, 경찰의 폭력에 대한 반발이 커졌습니다. .. 2025. 3. 31.
[이집트사] - 이집트 공화국과 무라바크의 시대 이집트 공화국과 무라바크의 시대호스니 무바라크(Hosni Mubarak)는 1928년 5월 4일 이집트에서 태어나, 1981년부터 2011년까지 약 30년 동안 이집트의 대통령직을 수행한 정치인이자 군인입니다. 무바라크는 이집트 공군에서 경력을 쌓았고, 1975년에는 대통령 안와르 사다트의 부통령으로 임명되었으며, 1981년 사다트가 암살된 후 대통령직을 승계하게 되었습니다. 무바라크는 이집트 역사상 가장 오랜 재임 기간을 기록하며, 이집트를 이끌었습니다. 그의 정치적 경력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치와 함께 경제 성장과 정치적 안정을 이루었지만, 인권 침해와 부패, 정치적 억압 등이 계속된 시기였습니다. 무바라크는 1981년부터 2005년까지 단일 후보제로 대통령 선거를 치렀고, 2005년에는 처음으로 다.. 2025. 3. 30.
[이집트사] - 이집트 공화국과 사다트 이집트 공화국과 사다트안와르 사다트는 1970년 10월 15일,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의 사망 후 이집트의 대통령에 취임했다. 사다트는 초기에는 나세르의 정치적 유산을 따르며 나세르주의자로서의 모습을 보였으나, 대통령에 취임한 후에는 많은 정책을 변경하며 나세르와의 결별을 선언했다. 특히, 경제적으로는 '인피타'(Infitah) 정책을 통해 나세르의 사회주의적 원칙을 포기하고, 외교적으로는 소련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종료하고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또한, 이스라엘과의 평화 과정을 시작하여 시나이 반도의 이스라엘 군과 정착민들의 철수를 이끌어냈다. 이러한 평화 노력으로 이집트는 아랍연맹에서 제명되었고, 국내적으로는 평화 조약에 대한 반대가 거셌다.  사다트의 초기 대통령직은 '수정 혁명'으로 요약될 .. 2025. 3. 29.
[이집트사] - 이집트 공화국과 나세르 이집트 공화국과 나세르1952년, 가말 압델 나세르와 무함마드 나기브가 이끄는 자유 장교단은 국왕 파루크 1세를 축출하고 이집트 혁명을 일으켰다. 1953년 6월 18일, 이집트는 공화국을 선포하고 무함마드 나기브가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나기브는 곧 실각하고, 1956년 나세르가 대통령직을 이어받았다. 나세르는 사회주의적 개혁과 범아랍 민족주의를 추진하며,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1956년)하여 영국과 프랑스의 경제적 영향력을 축소시켰다. 이로 인해 발생한 수에즈 위기에서는 미국과 소련의 중재로 영국과 프랑스가 철수하게 되었고, 나세르는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었다. 나세르 정부는 대규모 경제 개혁과 사회 복지를 확대했다. 농업 개혁, 헬완 제철소, 아스완 하이댐 건설 등 국가 주도 현대화 프로젝트가.. 2025. 3. 28.
[이집트사] - 영국의 이집트 점령 (1882-1952) 영국의 이집트 점령 (1882-1952)19세기 후반, 이집트는 서구 열강의 경제적 영향력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이집트 총독 이스마일 파샤는 대대적인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며 수에즈 운하를 1869년에 완공시켰다. 그러나 건설 비용으로 막대한 부채를 지게 되었고, 1875년 재정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수에즈 운하의 44% 지분을 영국에 매각해야 했다. 이후 영국과 프랑스는 이집트 내에 재정 고문을 파견하여 정부의 실권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이집트 내에서는 이러한 유럽의 간섭에 대한 반발이 커졌고, 1881년 우라비 파샤를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 운동이 시작되었다. 1882년 4월, 영국과 프랑스는 이집트 총독(케디브) 투피크를 지원하기 위해 알렉산드리아에 군함을 파견했지만, 이는 오히려 민족주의자들의 반.. 2025. 3. 27.
[이집트사] - 무하마드 알리 치세의 이집트 무하마드 알리 치세의 이집트무하마드 알리는 프랑스가 이집트를 철수한 후, 오스만 제국과 맘루크 세력 간의 갈등 속에서 총독으로써 이집트의 실권을 장악했다. 그는 맘루크 세력을 제거하려는 오스만 제국의 계획과 영국의 개입 속에서 권력을 강화해 나갔다. 이후 그는 이집트의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독자적인 개혁과 확장 정책을 추진하면서 이집트의 현대화를 이끌었다. 무하마드 알리는 맘루크와의 갈등을 끝내기 위해 직접 군사적 조치를 취했으며, 이후 아라비아 반도의 사우디 왕조를 정벌하기 위해 1811년 아들을 파견하여 메디나, 메카를 점령하고 사우디군을 격퇴했다. 그러나 아들 투순이 사망한 후, 그의 장남 이브라힘 파샤가 다시 사우디를 공격해 디리야를 함락시켰다. 내정 개혁 측면에서 무하마드 알리는 토지의 대부분을.. 2025. 3. 26.
[이집트사] - 프랑스의 이집트 침략과 점령 프랑스의 이집트 침략과 점령프랑스의 이집트 침략과 점령은 1798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집트를 침공하며 시작되었다. 나폴레옹은 표면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권위를 회복하고, 이집트를 지배하던 맘루크 세력을 억제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그는 자신이 신, 무함마드, 그리고 쿠란을 맘루크들보다 더 존중한다고 주장하며, 이집트 내 모든 사람들이 지적, 도덕적 우수성에 따라 평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알렉산드리아를 점령한 후, 나폴레옹은 프랑스가 오스만 제국의 동맹임을 강조하기 위해 점령지의 마을과 도시들에 오스만 제국과 프랑스 공화국의 깃발을 함께 게양하게 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이집트인들은 프랑스의 선의를 믿지 않았다. 1798년 피라미드 전투(엠바베 전투)에서 맘루크 세력의 수장인.. 2025. 3. 25.
[이집트사] - 후기 이슬람의 이집트 지배 후기  이슬람의 이집트 지배이슬람의 후기 이집트 지배는 주로 오스만 제국의 통치와 그 속에서의 맘루크 세력의 부상과 권력 다툼으로 특징지어진다. 1517년 오스만 제국의 셀림 1세가 이집트를 정복한 이후, 이집트는 오스만 제국의 속주가 되었으나 맘루크들은 여전히 지역 권력자로 영향력을 유지했다. 이집트의 토지 분배 체계는 기존의 맘루크 봉토제로 유지되었고, 이로 인해 맘루크들은 오스만 총독의 권위를 무시하고 세력을 확장할 수 있었다. 17세기에 접어들면서 이집트 내의 두 주요 파벌인 파카라(Faqari)와 카시미(Qasimi) 간의 갈등이 격화되었다. 이들은 각각 오스만 군대와 현지 이집트 군대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이들의 대립은 총독의 권위를 약화시키고 혼란을 초래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맘루크 출신.. 2025. 3. 24.
[이집트사] - 초기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지배 초기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지배1517년 이집트 정복 이후, 오스만 술탄 셀림 1세는 이집트를 떠났고, 대신 유누스 파샤가 이집트 총독직을 맡았다. 그러나 유누스 파샤는 부패와 뇌물로 가득 찬 부정적 세력을 만들어냈고, 결국 오스만 제국은 이집트 총독직을 하이르 베이에게 넘겼다. 하이르 베이는 알레포의 맘루크 총독 출신으로, 마르지 다빅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의 승리에 기여한 인물이다. 초기의 오스만 이집트 역사에서, 맘루크와 오스만 술탄의 대리인들 간의 권력 다툼이 주요한 특징을 보였다. 오스만 제국은 이집트의 많은 토지를 맘루크에게 여전히 봉토로 남겨두었으며, 맘루크들은 이로 인해 큰 영향력을 되찾을 수 있었다. 또한, 술탄의 후계자인 술레이만 대제 하에서는 '대디반'과 '소디반'이라는 두 개의 의회가.. 2025. 3. 23.
[이집트사] - 맘루크의 이집트 지배 맘루크의 이집트 지배맘루크( مملوك)는 무슬림 노예 군인이나 노예 출신 지배자를 일컫는 말로, 9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존재했다.  맘루크라는 이름은 아랍어로 소유된 자, 즉 피소유자라는 뜻이다. 이들은 주로 투르크, 슬라브, 조지아, 발칸 출신으로 구성되었다. 맘루크 왕조는 13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초까지 이집트와 발칸지역에 걸쳐 있던 국가로, 1250년 살라딘의 아이유브 술탄국을 무너뜨리면서 건국되었다. 본래 아이유브 술탄 앗 살리흐 (1240~1249)가 양성했던 군사 집단이었지만, 그의 사후 아이유브 왕조로부터 정권을 탈취하고 새로운 국가를 건국했다. 맘루크 왕국은 군사적 폭력과 권력 장악을 통해 이집트를 지배한 국가로, 이들의 통치는 큰 정치적, 경제적 번영을 가져왔다. 맘루크 이집트의 시대.. 2025. 3. 22.
[이집트사] - 살라딘의 이집트 지배 살라딘의 이집트 지배살라딘(알-나시르 살라흐 앗딘)은 누레딘의 부하로 이집트에서 제독으로 임명된 후, 1174년 누레딘의 사망 후 이집트에서 술탄의 칭호를 얻고 본격적인 지배를 시작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다마스쿠스가 제국의 주요 도시였지만, 카이로는 정치적 중심지로서 강화되었다. 1183년에는 살라딘의 이집트와 북시리아에 대한 지배가 확립되었으며, 이집트는 대부분 살라딘의 대리인인 카라크쉬가 다스렸다.1193년, 살라딘의 아들 오스만이 이집트의 술탄으로 임명되었고, 그의 삼촌인 알-아딜 1세와 동맹을 맺어 살라딘의 다른 아들들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1200년에는 알-아딜이 권력을 잡았다. 1218년 제5차 십자군의 다미에타 포위 중 사망한 알-아딜의 뒤를 이어 알-카밀이 술탄이 되었다. 알-카.. 2025. 3.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