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6

[중앙아시아사] - 몽골제국 이후의 동아시아와 오이라트 [중앙아시아사] - 몽골제국 이후의 동아시아와 오이라트 주원장이 명을 건국하는 1368년에 몽골인들은 대도와 상도를 명군에게 함락당했다. 몽골인들은 자신들이 거주하던 중국에서의 영토를 상실하고 초원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북원이 건국되었지만 몽골제국은 1487년 다얀 칸이 즉위하여 재통일을 할때까지 120년간 내전 상태로 들어간다. 토곤 테무르 칸은 명군이 응창을 기습할때 가까스로 몸을 피해서 측근만을 이끌고 막북 몽골 초원의 카라코룸으로 대피했다. 토곤 테무르 칸을 북원의 1대 칸으로 보기도 한다. 1370년 사망한 토곤 테무르 칸을 이어 아유시리다라 칸은 전열을 가다듬어 명군의 군사적 공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한다. 명나라 홍무제는 1372년 봄 15만 대군을 세 갈래로 나누어서 출병시켰다. 각.. 2022. 7. 11.
[중앙아시아사] - 몽골 제국의 쇠퇴와 종말 [중앙아시아사] - 몽골 제국의 쇠퇴와 종말 세계를 호령했던 몽골제국의 세계지배는 사실상 14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붕괴하기 시작했다. 제국 붕괴의 조심은 본격적으로 지배체계가 무너지기 20~30년 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각 울루스에서는 칸의 권위가 떨어지기 시작했다. 차가다이 울루스에서는 1326년 케벡 칸이 사망한 뒤 극히 짧은 기간만을 통치하고 단명한 칸들이 줄을 이었으며 타르마시린 칸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는 이유로 폐위되기도 했다. 내부적인 갈등과 균열로 인해서 차가다이 울루스는 1340년대 후반 동서로 분열되었다. 훌레구 울루스 또한 마지막 군주 아부 사이드의 20년 치세동안 어느정도 안정된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이는 권신들의 세력 균형을 위한 일시적인 안정이지 울루스 칸의 권력이 강해서가.. 2022. 7. 7.
[중앙아시아사] - 징기스 칸 사후 몽골제국의 권력다툼 징기즈칸은 1227년 대외원정을 가던 도중 사망하였다. 서하 원정 당시 사망하였고 위대한 칸의 죽음에는 다양한 설이 있으나 그것은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다. 징기즈칸은 생전에 셋째아들인 우구데이를 후계자로 지명해두었다. 그러나 그가 사망한 뒤 막내아들인 톨루이는 몽골의 관습에 따라 특수지위인 ‘화로의 주인’을 이용해 후계자가 되려고했다. 몽골족은 자식들이 커서 분가할 때마다 아버지에게 재산을 받아 분가하지만 막내는 마지막에 아버지의 남은 재산을 갖게된다. 이를 화로의 주인이라고 하는데, 이로인해 몽골은 말자상습이라는 오해가 생기기도 했다. 그러나 말자상속은 아니고 남은재산을 모두 물려받는 전통이다. 막내 톨루이는 쿠릴타이 개최를 미루면서 까지 기회를 엿보았지만 징기즈칸의 유언을 묵살하기엔 무리가 있었다. .. 2022. 6. 2.
[중앙아시아사] - 돌궐 2제국의 부흥 (679 - 744) 당에 멸망하기전 돌궐인들은 비석에 자신들의 문자인 투르크 문자를 새겨 기록을 남겨두었다. 돌궐의 기록에는 중국의 위험에 대해서 경계하는 모습과 당이 돌궐을 지배 했던 50여년 동안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를 서술하고 있다. 또한 돌궐이 당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희생을 치뤄야했는지를 서술하고 있다. 당은 동돌궐과 서돌궐을 차례로 격파하며 영토를 넓혀 서역지배체제를 완비한다. 당에 복속한 돌궐에 대해 당은 간접 지배체제로서 돌궐의 수장들을 내세워 구 돌궐제국의 영토를 통치한다. 서돌궐이 당에 멸망한 657년 이후 약 20년 뒤인 679년에 내몽골에서 당의 통치에 참지못한 돌궐 수령들이 합심하여 반란이 일으킨다. 아사나가문의 니숙복이라는 인물이 칸에 올라 구심점이 되자, 주변 24세력의 돌궐 수령.. 2022. 4. 19.
[중앙아시아사] - 돌궐제국의 성장과 분열 몽골초원을 장악하고 있던 유연은 6세기 들어 투르크계 돌궐의 도전을 받게되었다. 552년 투멘의 공격을 받은 유연의 아나괴 이 자살하면서 투멘은 돌궐을 건국한다. 몽골초원의 패자로 나타난 돌궐은 발음상으로는 튀르크로 불리우는 종족이었다. 앞서 초원을 지배하던 유연의 유력 계층은 몽골어를 쓰는 계통이었지만 이들이 나타나면서 몽골 초원은 투르크계열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이 초원을 차지하게 되었다. 돌궐제국의 건국자는 중국측 기록에는 토문(土門)으로 기록되는데 이는 투르크 어에서 10,000을 뜻하는 투멘[tumen]을 옮겨 기록한 말이다. 아마 만명을 거느리는 만호장을 뜻하는 말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토문이 즉위한뒤 자신을 일릭이라고 칭했다. 투르크어에서 일[il]은 나라(國)를 의미하고 일릭칸은 나라를.. 2022. 4. 11.
[중앙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의 새로운 패자, 유연 선비족의 뒤를 이어 고비사막 북쪽의 초원을 다스렸던 민족은 유연족이다. 유연은 기원후 4세기 후반부터 6세기 중반까지 초원에 국가를 건국하여 활동하였다. 3세기 전반에 선비족 연합체가 붕괴되고 우문부, 탁발부 같은 일부 선비 부족이 북중국으로 이주하였다. 비어버린 초원을 '칙륵'이라는 투르크 계통의 유목민족이 이들이 빠져나간 자리를 채웠다. 유연이라는 국명은 4세기 전반 거록회라는 인물이 몽골 초원에 잔류하던 선비계 유목민들을 규합하면서 사용되었다. 이들은 여여나 예예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유연의 남쪽에 국경을 맞댄 북위는 비하의 의미로 연연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당시 화북지역을 지배하고 있던 북위의 도무제는 4세기말 유연에 대하여 군사적 원정을 감행하여 타격을 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군사적 압박속.. 2022. 4.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