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러시아사/로마노프 왕조9

[러시아사] - 혁명의 나라 러시아, 두개의 혁명과 1917년 - 2월혁명과 로마노프 가문의 통치 종식 [러시아사] - 혁명의 나라 러시아, 두개의 혁명과 1917년 - 2월혁명과 로마노프 가문의 통치 종식 갑작스러운 대중 혁명으로 인해 제국정부는 힘 한번 써보지 못하고 소멸되었다. 갑작스럽게 벌어진 혁명으로 인해 수도인 상트페테부르크(페트로그라드)는 폭동과 시위로 인해서 혼란에 휩싸였다. 수도는 식량 부족사태에 항의하는 노동자들과 늘어가는 파업자수로 인해서 인산인해였고, 파업과 시위현장에서 노동자를 탄압하기 위해 파견된 군병력은 오히려 대중들에게 동조하면서 사태는 심각해졌다. 수도에는 더 이상 예비병력이 없었다. 당시 니콜라이 2세는 전선에 가있었기에 다른 지역에서 군대를 동원하여 수도로 진격시키지 못했고, 결국 수도에서 제국정부의 권위는 쉽게 무너졌다. 많은 제국의 관리들은 몸을 피하기에 급급했다. 1.. 2022. 12. 5.
[러시아사] - 제 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라스푸틴과 1917 러시아 혁명 [러시아사] - 제 1차세계대전과 러시아, 라스푸틴과 1917 러시아 혁명 제1차 세계대전은 장기적으로 벌어진 최초의 군사충돌로, 유럽의 사회 경제뿐 아니라 그간 축적된 기술과 기계화 된 군사력, 인력이 맞붙어 충돌한 전례없는 전쟁이었다. 전화의 소용돌이는 유럽대륙 곳곳으로 퍼져나갔고, 러시아는 물론 어느 국가도 일찍이 경험해 보지 못한 폭력이 그들을 감싸나갔다. 전쟁이 발발한 직후 러시아 내부의 항의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대중의 적대감은 그들의 적인 외부를 향했다. 그러나 이러한 애국주의적, 민족적 단결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독일에 대한 적개심이 차르정부에대한 충성심으로 환원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는 이 전에 있었던 국민을 정부의 소모품으로 여기는 차르정부의 태도와 더 이상 이를 좌시하지 않는.. 2022. 12. 1.
[러시아사] - 니콜라이 2세 치하 러시아의 외교 (1905 -1914) [러시아사] - 니콜라이 2세 치하 러시아의 외교 (1905 -1914) 제 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면서 다른 유럽열강과 마찬가지로 러시아도 세계대전에 얽혀들어갔다. 차르정부는 1914년 여름 세르비아를 지원하기로 결정하면서 세계대전의 한 축이 되었다. 사실 러일전쟁에 러시아가 패배한 이후 독일과 러시아는 그다지 친밀한 관계가 아니었다. 게다가 러시아와 오스트리아는 사실상 단교에 가까운 상태였다. 그와 동시에 러시아와 프랑스의 관계는 매우 돈독해진 상태였다. 여기에 영국과 러시아의 협상이 성립되었다. 1907년 8월 31일에 조인된 영국과 러시아의 합의는 러시아 외교정책에 있어 매우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양국은 전통적으로 극단으로 치달았던 전력을 갖고있었으나 이 합의를 통해 상호 우호적인 상태를 유지시킬 .. 2022. 11. 30.
[러시아사] - 니콜라이 2세 치하 1905년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입헌체제 [러시아사] - 니콜라이 2세 치하 1905년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입헌체제 1905년 러시아에 있었던 혁명은 어쩌면 예견되어 있었던 사건일지도 모른다. 19세기를 마치고 20세기로 넘어가는 세기의 전환기에서부터 1차대전 직전까지 러시아는 위기이자 기회였던 시기이다. 러시아 사회는 입헌군주주의자, 공화주의자, 개혁주의자, 사회주의자들이 다양하게 혼재했고, 노동자들은 삶을 지속하기위해 시위와 파업을 진행했다. 러시아 내부는 통일되지 못했고 혼란스러웠으며 대외적으로는 일본과의 전쟁에서 패배함에 따라 시국은 어지럽게 돌아갔다. 결국 러시아 정부는 이런 내부의 갈등과 외부의 위협을 보듬지 못하고 1905년 혁명을 맞이한다. 러시아 정부는 내부의 갈등을 억압적인 폭력으로 억누르려했고 이는 결국 혁명의 시발점이 되.. 2022. 11. 29.
[러시아사] - 러일전쟁과 니콜라이 2세의 러시아 [러시아사] - 러일전쟁과 니콜라이 2세의 러시아 러시아는 극동에서 공격적이고 모험적인 팽창을 계속해서 진행해왔다. 여기에는 1891년부터 1903년에 부설된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대표적이다. 만주와 중국, 한국을 연결하고 간접적으로 일본까지 러시아의 영향력을 미쳤던 철도는 극동지방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예였다. 이에 만주로의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던 일본은 이러한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가만히 좌시하지 않았다. 당시 일본은 메이지유신을 통한 근대화 성공으로 1894년에 있었던 청일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동북아시아에서 자신의 패권을 위시했다. 청일전쟁의 마무리를 짓는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일본이 만주 진출을 염두에 두고 랴오둥 반도를 조차하려 하자, 러시아는 앞서서 프랑스, 독일과 함께 이러한 일본의.. 2022. 9. 15.
[러시아사] - 차르 니콜라이 2세의 등장과 반개혁정치 [러시아사] - 차르 니콜라이 2세의 등장과 반개혁정치 알렉산드르 3세가 서거하자 그의 장남인 니콜라이 2세가 1894년 러시아의 차르로 즉위하였다. 그는 1868년생으로 최후의 차르로 불리우는데, 당시 니콜라이는 러시아를 둘러싸고 돌아가는 국제적인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차르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권력 개념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니콜라이는 자신, 즉 통치자는 신에의해서 축복 받고 있으며 자신의 국민들과 특별한 유대를 맺고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전통주의적 시대의 복식과 정치질서를 추구했다. 니콜라이는 러시아의 전통에 반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이었으며 반개혁적 정치질서를 가지고 통치를 진행했다. 니콜라이 3세는 부친의 반동적인 정책을 완화 시킬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는데 이러한 기대.. 2022. 9. 13.
[러시아사] - 알렉산드르 2세의 암살과 알렉산드르 3세의 즉위 [러시아사] - 알렉산드르 2세의 암살과 알렉산드르 3세의 즉위 크림전쟁의 패배 이후 러시아의 개혁에 착수했던 알렉산드르 2세는 때때로 그 개혁에 의구심을 가지기도 하였으나 계속해서 개혁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러시아의 근대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그의 개혁이 모두에게 달가운 것은 아니었다. 1881년 알렉산드르 2세는 의회를 개설해 달라는 요구를 받아들여 의회 기구를 개설하기 위해 마차를 타고 궁으로 향했다. 그러나 그날 공화주의자(나로드니키) 인민의 의지당이 계획한 폭탄 테러에 맞닥뜨리게 된다. 공화주의자들에 의해 첫번째로 투척된 폭탄은 호위병과 마부에게만 손상을 입혔다. 황제의 마차는 나폴레옹 3세가 선물한 방탄마차였기에 첫번째 폭탄에 의해 황제가 입은 피해는 전무했다. 그러나 상황을 살펴보고 다친 .. 2022. 9. 4.
[러시아사] - 알렉산드르 2세와 러시아의 아시아 지역 팽창 [러시아사] - 알렉산드르 2세와 러시아의 아시아 지역 팽창 러시아 제국은 알렉산드르 2세의 통치기에 아시아로의 진출을 황장하여 진정한 식민지 강국으로 변모했다. 그전에도 이미 폴란드와 코사크 인 등 다양한 다민족 국가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확대를 통해 더욱 제국의 면모를 갖추었다. 이에 다른 유럽 열강들은 러시아의 영토팽창에 신경을 쓸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러시아가 영토를 확장하는 곳은 아시아로 캅카스, 중앙아시아, 극동 지역이였기에 열강은 효과적으로 그 팽창을 저지 할 수 는 없었다. 또한 차르 정부는 알래스카까지 영토를 확장했으나 이는 1867년에 미국에 720만 달러에 팔아 넘겼다. - 카프카스 지역과 러시아 19세기 전반에 걸쳐서 조지아(그루지야)가 러시아에 종속되고, 페르시아와 투르크로부.. 2022. 8. 27.
[러시아사] - 알렉산드르 2세와 러시아의 농노제 개혁 [러시아사] - 알렉산드르 2세의 등장과 러시아의 농노제 개혁 (1855-1881) 유럽의 헌병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를 억압했던 러시아 차르 니콜라이 1세는 1853년 발발한 크림 전쟁으로 인해 무너지게 되었다. 러시아의 지나칠 정도의 자유주의, 민족주의 억압과 팽창주의 확장이 오히려 유럽 국가들에게 경계심을 불러일으켰고, 러시아가 유럽에서 고립당하게 된 것이다. 니콜라이 1세는 크림전쟁에서 러시아군이 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참패를 당하기 시작하자, 군사적 정치적 타격을 입은 채 실의에 빠졌다. 그는 비가 오는 날 크림반도로 출진하는 군대를 사열하다가 폐렴으로 쓰러져 1855년 생을 마감했다. 크림전쟁은 1856년 끝났다. 알렉산드르 1세는 37세의 나이에 부친인 니콜라이 1세의 뒤를 이.. 2022. 8.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