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돌궐6

[중앙아시아사] - 유목민족사 역사 연표 (*23년 1월) BC 3500, 유목민의 등장과 말 BC 7C, 역사상 첫 유목민: 스키타이 BC 4C, 호(胡)와 흉노의 등장, 만리장성의 축조 BC 129, 흉노 제국과 한 제국의 전쟁 BC 126, 중앙아시아와 한나라, 타림분지의 국가들 BC 52, 흉노와 한의 관계변화, 호한야 선우와 왕소군 AD 48, 흉노의 2차 분열과 일축왕, 남흉노의 등장 AD 89, 북흉노의 서천, 그리고 흉노제국의 멸망 AD 1C, 유목민족 오환의 등장 AD 4C, 한인 왕조의 혼란과 몰락, 유목민족의 중원 이주 AD 4C, 중앙아시아의 새로운 패자, 유연의 등장 AD 6C, 돌궐 제국의 성장과 분열 AD 6C, 당나라와 돌궐제국, 돌궐의 서방정책 AD 657, 돌궐의 멸망과 새로운 돌궐 제국, 돌궐 2제국의 부흥(679 - 744) .. 2023. 1. 5.
[중앙아시아사] - 위구르 제국의 등장과 당나라, 돌궐의 멸망과 안록산의 난 [중앙아시아사] - 위구르 제국의 등장과 당나라, 돌궐의 멸망과 안록산의 난 위구르 제국은 투르크계 유목민인 칙륵의 후예이다. 칙륵 또는 철륵으로 불리는데 이는 수레를 뜻한다. 이들은 바퀴가 높은 수레를 이용하여 유목을 했기 때문에 붙은 명칭이다. 605년 서돌궐의 지배 하에 있던 칙륵이 세력이 커지자 서돌궐의 카간은 칙륵의 수령들을 급습하여 죽여 세력을 억제했다. 그러자 칙륵에 속하던 부구, 통라, 위구르, 바이쿠르등이 모두 스스로를 위구르라고 칭했다. 이들은 셀렝게 강 부근에 살았으며 인구 10만에 병사의 숫자가 5만을 헤아렸다. 이 기록에 따르면 7세기 초에는 톈산 방면에 살던 투르크계 유목민 집단이 서돌궐의 공격으로 동북방 셀렝게 유역으로 이주하면서 위구르를 중심으로 세력화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2022. 5. 2.
[중앙아시아사] - 돌궐 2제국의 부흥 (679 - 744) 당에 멸망하기전 돌궐인들은 비석에 자신들의 문자인 투르크 문자를 새겨 기록을 남겨두었다. 돌궐의 기록에는 중국의 위험에 대해서 경계하는 모습과 당이 돌궐을 지배 했던 50여년 동안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를 서술하고 있다. 또한 돌궐이 당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희생을 치뤄야했는지를 서술하고 있다. 당은 동돌궐과 서돌궐을 차례로 격파하며 영토를 넓혀 서역지배체제를 완비한다. 당에 복속한 돌궐에 대해 당은 간접 지배체제로서 돌궐의 수장들을 내세워 구 돌궐제국의 영토를 통치한다. 서돌궐이 당에 멸망한 657년 이후 약 20년 뒤인 679년에 내몽골에서 당의 통치에 참지못한 돌궐 수령들이 합심하여 반란이 일으킨다. 아사나가문의 니숙복이라는 인물이 칸에 올라 구심점이 되자, 주변 24세력의 돌궐 수령.. 2022. 4. 19.
[중앙아시아사] - 당과 돌궐제국, 돌궐의 서방정책 새롭게 몽골초원에서 흥기한 돌궐은 제국을 세웠다. 흉노와 달리 돌궐은 영역이 넓어 서쪽 카스피해까지 미쳤기 때문에 당시 서아시아에 존재하던 사산왕조 페르시아는 물론이고 그 너머 비잔티움 제국과도 관계를 맺었다. 돌궐제국은 사산왕조와 연합해헤프탈 훈족을 멸망시키고 아무다리야강을 기점으로 서로의 영토를 분할 하였다. 이로써 돌궐제국은 사산왕조 페르시아와 국경을 맞대게 되었다. 사산왕조 페르시아와 돌궐은 초원길을 통한 비단무역을 두고 대립하였다. 돌궐제국은 사산왕조가 영유하고 있던 국제 교역로를 우회해서 이들이 가지고 있던 영향력을 빼앗고자 했다. 그리하여 교역로를 두고 돌궐은 페르시아를 거치지 않고 비단을 교역할 길을 찾기위해 노력하였다. 이때 돌궐의 눈에 들어온 나라가 바로 동로마제국, 비잔티움이었다. .. 2022. 4. 14.
[중앙아시아사] - 돌궐제국의 성장과 분열 몽골초원을 장악하고 있던 유연은 6세기 들어 투르크계 돌궐의 도전을 받게되었다. 552년 투멘의 공격을 받은 유연의 아나괴 이 자살하면서 투멘은 돌궐을 건국한다. 몽골초원의 패자로 나타난 돌궐은 발음상으로는 튀르크로 불리우는 종족이었다. 앞서 초원을 지배하던 유연의 유력 계층은 몽골어를 쓰는 계통이었지만 이들이 나타나면서 몽골 초원은 투르크계열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이 초원을 차지하게 되었다. 돌궐제국의 건국자는 중국측 기록에는 토문(土門)으로 기록되는데 이는 투르크 어에서 10,000을 뜻하는 투멘[tumen]을 옮겨 기록한 말이다. 아마 만명을 거느리는 만호장을 뜻하는 말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토문이 즉위한뒤 자신을 일릭이라고 칭했다. 투르크어에서 일[il]은 나라(國)를 의미하고 일릭칸은 나라를.. 2022. 4. 11.
[중앙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의 새로운 패자, 유연 선비족의 뒤를 이어 고비사막 북쪽의 초원을 다스렸던 민족은 유연족이다. 유연은 기원후 4세기 후반부터 6세기 중반까지 초원에 국가를 건국하여 활동하였다. 3세기 전반에 선비족 연합체가 붕괴되고 우문부, 탁발부 같은 일부 선비 부족이 북중국으로 이주하였다. 비어버린 초원을 '칙륵'이라는 투르크 계통의 유목민족이 이들이 빠져나간 자리를 채웠다. 유연이라는 국명은 4세기 전반 거록회라는 인물이 몽골 초원에 잔류하던 선비계 유목민들을 규합하면서 사용되었다. 이들은 여여나 예예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유연의 남쪽에 국경을 맞댄 북위는 비하의 의미로 연연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당시 화북지역을 지배하고 있던 북위의 도무제는 4세기말 유연에 대하여 군사적 원정을 감행하여 타격을 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군사적 압박속.. 2022. 4.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