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사] - 흉노와 한의 관계변화
한과의 전쟁이 끝난 뒤인 기원전 60년, 허려권거 선우가 사망하면서 흉노는 정치적 혼란과 분열에 휘말렸고 곧 내전으로 격화되었다. 그러나 곧 내전은 수습되었고 흉노의 우현왕이던 악연구제가 흉노선우를 계승하였다. 그리고는 곧 자신의 즉위에 반대한 흉노 귀족들을 탄압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탄압을 받던 귀족들은 이대로는 당할 수 없다며 호한야라는 인물을 선우로 옹립하여 악연구제에게 대항하였다. 이로써 초원에는 모두 2명의 선우가 있었고 이는 곧 내전으로 다시 격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호한야 선우의 세력이 승리하는듯 하였으나 호한야의 형인 질지가 그를 축출하면서 상황은 다시 급변한다. 형에게 선우자리를 찬탈당한 호한야는 몽골초원에 머물 곳을 찾지 못하여 결국에는 기원전 52년 추종자들을 이끌고 고비사막을 건너 한의 황제에게 입조하여 스스로 황제를 칭했다.
흉노 군주의 친조에 당황한 한나라는 전례없는 일을 슬기롭게 잘 처리하였다. 한나라 황제는 호한야 선우를 황제보다는 아래에, 그러나 제후왕들 보다는 위인 자리에 두고 흉노의 군주에게 황제 버금가는 대접을 해주었다.
이에 호한야 선우 역시 한에 친화적으로 대하였다. 입조는 물론이고 스스로 신하를 칭하고였다. 또한 질자를 들이고 공물을 헌납하였다. 이로써 흉노의 군주가 황제와 군신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는 곧 한과 흉노의 관계도 화친이 아닌 다른 조공국들과 같이 한제국의 조공관계가 성립되는 순간이었다.
한나라는 자신들의 중화사상에 입각한 조공체제의 완성을 꿈꾸었다. 또한 흉노의 정치적 복속을 모두 얻는 합리적인 선택을 하였으나 부작용도 있었다. 호한야 선우에게 돌아가는 경제적인 하사품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었던 것이다. 입조를 하여 자신이 준비한 공물을 바치면 황제가 하사품을 내려주는데, 그 양이 상당하다는 것을 깨달은 호한야는 기원전 51년에 입조하여 선제를 배알하였다. 한나라의 당시 하사품은 황금 약 5킬로그램과 현금 20만전, 비단 8천필 등이 있었다. 자신의 입조와 조공이 곧 경제적 보상을 약속한다는 사실을 깨달은 호반야는 기원전 50년, 1년뒤인 기원전 49년에 계속해서 조공을 해왔다. 이는 한나라의 경제적 타격을 의미했다. 호한야는 이러한 한나라의 물질적 지원에 힘입어 기원전 43년에는 고비사막 건너 막북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호한야의 형 질지는 돌아온 호한야를 피해 서쪽으로 이주하였으나 기원전 36년 한의 서역도호 감연수에게 공격당해서 죽었다. 경쟁자가 사라진 초원에 유일한 선우인 호한야는 다시 흉노를 이끌게 되었다.
그러나 상황은 재미있게 돌아갔다. 호한야는 흉노의 유일한 군주임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한에 입조하였다. 이는 약탈, 전투, 협박이 아니더라도 조공을 하면 경제적 이익이 돌아온다는 것을 학습했기 때문이다. 호한야는 기원전 33년 다시 입조했고 이번에는 지난번의 두배의 하사품을 받아갔다. 게다가 기원전 3년에는 호반야의 아들 오주류약제가 다시 입조를 청했으나 한의 거부로 돌아갔다.
흉노에게 막대한 하사품을 주었다 하더라도, 한의 물질적인 지원을 대가로 평화를 사는 대응은 종래에 흉노가 행해오던 약탈보다는 한나라에게 훨씬 더 이득이었다. 더욱이 중화질서 표방과 흉노와의 군신관계 성립은 여러모로 한나라에게 커다란 이득이었다. 그러나 하사품이 가져다 주는 경제적 부담이 적은 것만은 아니여서 호반야의 아들이 입조하는것을 반대하기도 했다. 양측의 불만이 쌓여가는 관계였으므로 이러한 관계는 오래가지 않았다.
한나라에서 기원전1년과 기원후1년을 전후하여 왕망이 제위를 찬탈하고 전한을 멸망시키면서 흉노와 관계는 파탄을 맞게되었다. 왕망은 신을 건국하면서 친선관계이던 흉노를 격하하고 멸시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흉노는 다시금 종래의 약탈과 침입이 계속되는 관계로 회귀하였다.
'중앙아시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아시아사] - 흉노 선우들의 대립과 2차 분열 (0) | 2021.05.07 |
---|---|
[중앙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와 한나라, 타림분지의 국가들 (0) | 2021.05.04 |
[중앙아시아사] - 흉노 제국의 대 한나라 전쟁 (0) | 2021.04.14 |
[중앙아시아사] - 흉노의 등장과 만리장성 (0) | 2021.04.02 |
[중앙아시아사] - 역사상 첫 유목민: 스키타이 (0) | 2021.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