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집트사

[이집트사]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쇠락기

by Timemapcatographer 2025. 3. 16.
반응형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쇠락기

프톨레마이오스 3세가 사망한 후, 221 BC에 그의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4세 필로파토르가 왕위를 이어받았다. 그러나 그는 능력이 부족한 왕으로, 그의 통치는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그의 통치 초기에는 어머니가 살해되는 비극이 있었고, 그는 항상 왕실의 측근들에 의해 조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대신들은 안티오코스 3세 대왕의 코엘레-시리아 침공에 대비하기 위한 군사적 준비를 했으며, 217 BC의 라피아 전투에서 이집트의 큰 승리를 거두어 왕국의 안전을 확보했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 4세는 오르기즘 종교와 문학에 몰두하며, 아르시노에와 결혼했으나, 실제로는 애첩인 아가토클레아의 영향 아래 있었다.

프톨레마이오스 4세는 이집트의 파라오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이집트 사제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신전을 건설하는 등 이집트의 전통을 따랐다. 그의 통치 아래 217 BC에는 멤피스에서 사제들이 모인 신성 회의를 소집했으며, 이 회의 결과로 ‘라피아 칙령’이 공표되었다. 이 칙령은 프톨레마이오스 4세와 아르시노에 3세의 군사적 성공과 사제들에 대한 기여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 칙령은 이집트의 파라오 이데올로기와 헬레니즘 왕국 이데올로기를 결합한 결과물로, 왕과 왕비를 신격화하며 그들의 승리를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그러나 알렉산드리아의 잘못된 통치로 인해 205 BC에는 대이집트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은 제사장 휴그로나포르가 이끌었고, 그는 199 BC까지 상이집트를 차지한 후 사망했다. 이후 그의 아들 앙크마키스가 왕국을 위협했으나, 186 BC에 반란은 진압되었고, 이 반란사건의 이야기는 로제타 석으로 전해졌다.

 

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고, 그의 통치 아래에서 이집트는 여러 지역을 잃었다. 200 BC의 파니움 전투에서 코엘레-시리아를 셀레우코스 제국에 빼앗겼고, 이로 인해 이집트는 로마와 동맹을 맺게 되었다. 에피파네스는 성년이 된 후 폭군이 되었으나, 180 BC에 일찍 사망했다. 그는 어린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6세 필로메토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고, 필로메토르는 이집트를 다스리며, 그 역시 왕국의 상황을 개선하지 못했다.

170 BC에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가 이집트를 침공하여 필로메토르를 포로로 잡고 멤피스에 두고, 프톨레마이오스 6세의 동생인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피스콘이 왕위를 차지했다. 안티오코스가 철수한 후, 두 형제는 공동 통치를 하기로 합의했지만 곧 갈등을 일으켰고, 로마는 이집트 내정에 개입하며 영향력을 확장해 나갔다. 필로메토르는 결국 왕위를 되찾았지만, 145 BC에 전투 중 사망했다.

 

프톨레마이오스 6세의 사후, 왕국은 또 다른 내전과 왕위 계승 싸움에 빠졌다. 필로메토르는 어린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7세에 의해 뒤를 이었지만, 프톨레마이오스 8세는 그의 어린 조카를 죽이고 왕위에 오르며, 폭군의 모습을 드러냈다. 116 BC에 그의 사망 후, 왕국은 부인 클레오파트라 3세와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9세가 공동 통치하게 되었다. 그 후 107 BC에는 클레오파트라 3세가 아들을 쫓아내고, 자신은 에우르게테스의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10세와 공동 통치를 시작했다. 88 BC에는 프톨레마이오스 9세가 왕위로 복귀하였고, 80 BC에 사망했다.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11세가 왕위에 오르지만, 그는 계모를 살해한 후 알렉산드리아 군중에 의해 처형되었다. 이러한 왕실 내의 비극적인 권력 다툼과 내전은 이집트를 크게 약화시켰고, 결국 이집트는 사실상 로마의 보호령이 되었다. 로마는 리비아와 키프로스를 병합했으며, 58 BC에 프톨레마이오스 12세는 알렉산드리아의 군중에 의해 쫓겨났으나, 3년 후 로마의 지원을 받아 복위했다. 프톨레마이오스 12세가 사망한 후, 그의 자녀인 10세의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13세와 17세의 딸 클레오파트라 7세가 공동 통치하게 되었다.

 

이렇게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내전과 외침, 그리고 로마의 개입으로 점차 쇠락하게 되었고, 결국 이집트는 로마 제국의 속국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