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사66

[한국사] - 고구려의 영토팽창과 전성기, 광개토대왕의 등장 고구려는 백제와의 평양성 전투에서 고국원앙의 전사 이후 내부적인 정비를 마치고 다시금 영토 팽창을 시작했다. 이는 당시 중국이 분열되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고구려는 백제와 신라의 삼국간의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으면서 5세기에 최전성기를 펼쳤다. 이때가 그 유명한 광개토왕, 장수왕, 문자왕의 치세로 고구려는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삼국시대의 주인공으로 등장하였다. 고구려의 광개토왕은 18세의 젊은 나이에 왕위에 올라 안정된 정치 기반을 바탕으로 대대적인 정복사업을 펼쳤다. 북으로는 거란의 일파인 비려를 정멀하고 요하를 넘어 요동을 점령해 영유권을 확보했다. 고구려는 이 원정에서 600-700여개에 달하는 촌락을 파괴했다. 북쪽 변경을 정비한 이후 기수를 남으로 돌렸다. 고국원왕이 근초고왕에 의해 .. 2022. 9. 14.
[한국사] -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한국사] -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조선이 멸망한 108년 이후 조선의 영역에서 여러 나라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조선의 강역이었던 압록강 중류 지역에서 거주하던 맥족이 새로운 정치체제를 수립하고 고구려를 건국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기원전 37년 경 성립된 고구려는 한나라가 고조선을 멸망시킨 이후에 설치한 현도군을 몰아내며 5부라는 연맹체를 구성하여 국가를 성립했다. 고구려의 시조로 일컬어 지는 사람은 주몽이다. 기원전 1세기경 북쪽에 위치한 부여에서 자란 주몽은 무리를 이끌고 부여에서 남쪽으로 이주해 세력을 만들었고 고구려 지역의 토착민인 소노부를 제압하고 계루부 소속으로 연맹체에 속해 주도권을 장악했다. 고구려의 연맹체는 여러 소국과 집단으로 점철되어있었으나 결국 총 5개의 집단으로 정리되.. 2022. 8. 29.
[한국사] - 고조선의 발전과 한제국의 조선침략 고조선은 춘추전국시대에 조선으로 이주해온 중국 유이민으로부터 받아들인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주변에 산재한 주변의 소국들을 정복하면서 국가의 기틀을 다져나갔다. 또한 관료제도를 정비하고 북방의 흉노와 동맹을 맺으면서 중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세력권을 형성나갔다. 그러던 중 기원전 128년 예족의 통치자인 남려가 28만의 백성을 이끌고 요동에서 한나라에 복속되길 청했다. 한은 이를 받아들여 요동에 창해군을 설치하고자 했으나 곧 주변 주민들의 저항으로 폐지되었다. 한나라가 조선에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자 이를 두고 조선의 지배층은 분열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되자 고조선 내 중심세력이 영향력을 잃기 시작했고, 동시에 고조선 내 중심세력이 영향력을 잃자 한나라는 흉노와 조선의 관계를 끊어내기 위해 조선으로.. 2022. 8. 26.
[한국사] - 고조선의 등장과 발전 고조선은 기원전 7세기 무렵부터 기원전 108년까지 존속한 국가이다. 본래의 국호는 조선이다. 1392년 이성계에 의해 건국된 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후대에 옛 고(古) 한자를 넣어 고조선이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의 영역은 한반도 북부와 지금의 중국 랴오닝 성에 걸쳐서 있었다. 조선이라는 국호는 중국 한대에 쓰여진 ‘관자’라는 책에 처음 등장한다. 책의 내용이 기원전 7~6세기의 상황을 전달하는 책이므로 적어도 고조선이 그때 당시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관자'는 저자가 관중으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관중의 언행을 기록한 것이며 이것은 춘추 전국시대를 거치면서 계속해서 수정되었다. 사기에도 고조선이 등장한다. 당시 고조선은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와 교역을 했다고 한다. 제나라는 산둥반도에 위치한 국가로.. 2022. 8. 25.
[한국사] - 한국의 청동기 시대와 고조선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1000년 무렵 시작된다. 현재 중국에 있는 요녕성과 길림성 일대의 지역과 한반도 여러 곳에서 청동기 유적이 발견되고 있다. 한반도로 유입된 청동기 문화는 남만주를 거쳐서 한반도로 들어왔다. 이때 이 청동기 문화를 향유한 이들이 예족과 맥족, 이른바 예맥족이다. 한반도와 만주일대에 거주하던 예맥족의 청동기 문화 중 대표적인 것은 칼날이 비파모양을 닮은 비파형 동검이다. 비파형 동검은 장식이 없고, 기하무늬가 새겨진 청동거울이나 단추등 작은 청동 장식품과 함께 나온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 무렵부터 칼날 모양이 길고 가느다란 모양으로 변경된다. 이를 세형동검이라 부른다. 이러한 동검의 발굴 위치는 청동기문화를 향유했던 고조선의 위치를 가늠하게 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청동기가.. 2022. 8. 23.
신간회 해소에 대한 근본적 원인 분석 신간회 해소에 대한 근본적 원인 분석 목차 머리말 신간회 해소의 원인에 대한 종래의 연구 1) 내재적 원인 2) 외재적 원인 조선총독부 의 신간회 탄압 신간회 해소 원인과 조선총독부 탄압과의 연관성 1) 신간회 중앙본부와 지회간의 갈등조장 2) 공산주의 세력의 신간회 해소활동 결론 머리말 신간회는 자치운동을 주장한 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을 제외한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결집해서 창안한 합법적 운동단체로 1927년 2월 15일에 발기하여 1931년 5월까지 존속한 한국의 좌우합작 독립운동 단체이다. 신간회는 1920년대 부터 나타난 민족주의 세력의 자치론자들에 대항한 민족주의 내부의 비타협적세력과 사회주의자들이 민족협동전선을 만들며 탄생하였다. 천도교계와 조선공산당이 함께 추진한 6.10 만세운동은 .. 2021. 5. 28.
728x90
반응형